미국 나스닥 100 지수 추종 ETF
페이지 정보

본문
ETF | 운용사 | 상장일 | 총보수 |
---|---|---|---|
KBSTAR 미국 나스닥100 | KB자산운용 | 2020년 11월 6일 | 0.021% |
KINDEX미국 나스닥100 | 한국투자신탁운용 | 2020년 10월 29일 | 0.07% |
KODEX미국 나스닥100 | 삼성자산운용 | 2018년 8월 | 0.45% |
TIGER미국 나스닥100 | 미래에셋자산운용 | 2010년 10월 | 0.07% |
(*KINDEX미국 나스닥100은 총보수 수수료는 2020년 11월 18일부터 0.09% → 0.07% 적용 된다)
(*KBSTAR 미국 나스닥100 총보수 수수료는 2021년 2월 1일부터 0.07% → 0.021% 적용 된다)
나스닥100 ETF는 'NASDAQ 100 Index'를 추종한다. 이 지수는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비금융 업종인 IT, 소비재, 헬스케어 등 미국의 성장을 주도하는 업종 대표주 100개로 구성된다.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등이 포함된다.
국내에 상장된 미국 나스닥100지수 추종 상장지수펀드(ETF)는 일반 주식과 다를 바 없기 때문에 증권사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사고팔아야 하기 때문에 '매매 수수료' 를 증권사에 내야 한다.
국내 상장된 미국 나스닥100 추종 ETF는 매매 차익은 배당 소득으로 간주되어서 배당 소득세 15.4% 과세된다. 배당금은 배당세율 15.4% 공제후 입금해 준다.
2. 미국에 상장된 미국 나스닥 100 지수 추종 ETF
ETF | 운용사 | 상장일 | 총보수 |
---|---|---|---|
Invesco QQQ Trust | Invesco | 1993년 3월 10일 | 0.2% |
미국에 상장된 미국 나스닥 100지수 추종 ETF는 QQQ 이다.
QQQ는 미국의 Invesco라는 자산운용사에서 운용하는 ETF로 연 운용보수가 0.2%이다.
QQQ는 해외 보통 주식으로 취급해서 매매 차익은 22%를 양도소득세로 내야한다. 배당금은 15.4% 배당 소득세가 발생한다.
*해외주식 전체 수익에 대해 양도세 250만원 공제가 있다.
3. 국내 상장 미국 나스닥100 ETF VS 해외 미국에 상장 미국 나스닥 100 ETF 비교
예들 들어 TIGER미국나스닥100과 QQQ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TIGER미국나스닥100 | QQQ | |
---|---|---|
환전비용 | 없음 | 약 0.50% |
증권사수수료 | 온라인 평균 0.015% | 온라인 평균 0.25% |
연간총보수 | 0.07% | 0.20% |
배당소득(분배금) | 15.4% | 15.4% |
매매차익 | 15.4% *연간금융소득 2,000만원 이하인 경우 분리과세, 초과시 종합과세 |
22% *매매차익 250만원까지 비과세. 매매차익 250만원 이상이면 양도차액에 대해 22% 세금부과 |
금융소득종합과세 | 대상 | 분배금만 대상 |
유리한 경우 | - 원화강세 - 연간 매매차익 833만원 초과, 2000만원 이하 - 잦은 매매 - 퇴직연금 계좌로 매수 |
- 원화 약세 - 연간 매매차익 833만원 이하 - 금융소득종합 과세 대상자 - 장기보유자 |
* 해외 ETF는 다른 해외 주식 종목과 손익 통산도 가능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