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새로운 산업을 만들고 세상을 변화시킬 특이점이라며 빅테크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대표적인 AI 수혜주로 꼽히는 반도체기업 엔비디아는 시총 1조달러를 넘었다. 반도체 기업 최초다. 엔비디아는 사실 그냥 그래픽회사로 알려져 있었다. 시대를 잘만난 것인가... 비트코인에 이어서 ai로... 세상은 운빨도 중요하다.
이제는 완전히 chatGPT 시대로 넘어가나 보다. 여기도 chatGPT, 저기도 chatGPT. 흐름이 코인이 한창 뜨기 시작 했을때랑 비슷하다. 초기에 코인에 투자 했으면 대박. 나중에 들어가면 설거지. 이제 코인은 마무리 단계인듯 싶다. chatGPT의 큰 흐름에 올라타는 것이 좋아 보인다. 구글이나 ms가 가장 크기는 하다. 메타는 힘을 못 쓰고 있고...
주식시장 참여 주체중에 개인투자들은 직접 매매를 한다. 외인, 기관, 세력들은 시스템 매매를 한다. 즉 사실상 AI매매인 것이다. 기계들은 감정이 없다. 심리적 멘탈이 약한 인간들은 죽음으로 내몰리고 또 파산으로 시간과 함께 몸도마음도 고갈된다. 그러나 감정이 없는 기계는 그냥 실행할 뿐이다. 공포도 없고, 환희도 없다. 이익에 따라 움직일 뿐이다. 결국 시간이 흐르면 개인은 피폐해지고, 돈도 잃고만다. 물론 건강도 함께 말이다. 승자는 기계이다.
라이다 센서 업계의 1위 업체인 벨로다인이 Graf에 인수합병 투표일자가 오는 29일에 시작한다고 합니다. 벨로다인은 현대 모비스에게 투자도 받고 납품까지 한다는 소식까지 있는 업체이기도하고 합니다 저는 이미 투자하고 있는데 최소 3년 이상을 냅두면 알아서 올라갈 주식 같습니다 배당의 매력은 없지만 주가 상승으로 봤을 때는 괜찮아 보입니다
2020년 3월 발간된 골드만삭스의 자료 'Bear Essentials(약세장의 본질)'를 보면 약세장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 1. 구조적 약세장(Structural Bear Market) 2. 순환적 약세장(Cyclical Bear Market) 3. 특정 이벤트에 의한 약세장(Event Driven Bear Market) 1. 구조적 약세장 - 오랫동안 지속된 거품이 붕괴되면서 구조적 불균형을 동반하거나 또는 금융기관이 부실화되면서 나타나는 약세장. - 자산 가격의 디플레이션을 동반하며 평균 42개월 동안 57% 하락.…
아마추어의 최대 고민은 ‘종목선정’에 있습니다. 우량주를 골라야 고수익을 낸다는 건 상식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천하기란 여간 어렵지 않습니다. 몰라서 못하고 알아도 머리와 몸이 따로 노는 게 다반사입니다. 하지만 투자세계의 고수들은 다릅니다. 저마다 독특한 종목선정 노하우를 보유·고수한 결과 경이로운 수익률을 냈습니다. 피터 린치는 생활 주면에서 대박 힌트를 찾아냈고, 워런 버핏은 독점 파워를 가진 굴뚝주만 고집스레 매매해 고수익을 거뒀습니다.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지만 윌리엄 오닐(William J. O’Neil)의 종…
현금흐름 할인 모델(Discounted Cash Flow Model) 어떤 사람이 대학 교육을 위해 5천만 원을 지불했다고 합시다. 그리고 졸업 후 30년 동안 매년 5천만 원을 벌었고, 그 사람이 대학 교육을 받지 않았으면 같은 30년 동안 매년 3천만 원을 벌었을 것이라면 대학교육의 내재가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대학교육의 장부가치 = 투자액 5000만 원 (엄밀하게 얘기하자면 대학을 감으로써 포기해야 했던 수입까지 합쳐야 합니다. 즉, 기회비용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대학교육의 내재가치 = (5000-3000…
기업의 성장 잠재력에 투자하라. 필립 피셔(Philip A. Fisher, 1907~2004) 피셔의 투자 이론은 그레이엄과 반대되는 것이다. 피셔는 오히려 성장 잠재력이 뛰어난 기업이라면 장부가치보다 훨씬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 해도 더 높은 투자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런 점에서 그레이엄이 가치주 투자 이론의 원조라고 한다면 피셔는 성장주 투자 이론을 월스트리트에 처음으로 소개한 개척자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손익계산서나 대차대조표 같은 재무제표를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이보다는 최고 경영진의 능력과 …
벤저민 그레이엄(Benjamin Graham, 1894~1976) 이전의 월스트리트가 투기의 장이었다면 그의 등장 이후에는 과학적 투자의 장이었다고 할 정도로 그레이엄은 주식시장의 틀을 완전히 바꾸어버렸다. 그레이엄은 이 선정한 ‘시대를 초월한 가장 위대한 투자자’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히기도 했으며, 미국 경제인 명예의 전당에 헌정되기도 했다. 그는 또 컬럼비아 대학교와 UCLA 경영대학원 등에서 30여 년 간 강의하면서 증권 분석을 하나의 학문으로 정립했다. 지금도 그가 남긴 《증권 분석》과 대중적인 투자 지침서 《현명한 투자…
Warren Buffet는 한마디로 경쟁자가 없을 정도로 뛰어난 투자 전략가이다.그의 성공적인 투자 전략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가 투자한 주식 종목과 그렇지 않은 종목에 대해 충분한 이해를 할 필요가 있다. Warren Buffet 자신도 수 차례 피력했듯이 투자는 올바른 지적 기반을 갖추고 이를 개발할 수만 있다면 생각만큼 어렵고 복잡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그의 핵심적인 투자 전략은 다음과 같은 4가지 원리로 정의된다. 1.올바른 투자 철학을 갖는다 - 장기적인 관점에서부터 투자자 개인의 느낌까지 …